국토해양부가 자동차 급발진으로 인한 자동차 사고의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 '합동조사반'을 설치, 운영한다.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4일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원인조사를 위해 9일부터 합동조사반을 설치 운영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합동조사반은 조사의 신뢰성,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해 자동차 분야 전문가와 산업계, 학계, 연구계, 시민단체가 고루 위원으로 참여했다.
합동조사반은 가장 최근에 '급발진 사고'로 보도된 대구 와룡시장 사고 등 5개 사고에 대해 정확한 원인 분석에 나선다.
주로 사고 자동차의 각종 전자 제어장치와 내용분석, 작동시험, 현장조사 등을 통해 차제에 대한 결함여부를 살피고 다른 인적·사고적 원인은 없는지도 조사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급발진 원인 규명을 위해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며 "그 결과 페달 오작동 등 운전자 과실로 인한 사고가 많았으며 아직 자동차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급발진 가능성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조사에 착수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국토부는 또 "우리나라에서도 1999년 6월부터 급발진 의심차량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으나 대부분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이었다"면서 "그밖의 사고는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다"고 했다.
국토부 등 합동조사반은 사고조사 결과에 대해 사고 당사자의 동의를 구해 언론에 공개할 계획이다. 현재 참여하기로 한 기관·단체 이외에 사고조사에 참여를 원하면 자동차안전연구원(031-369-0251~4)로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