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외시장의 수출여건이 악화됐지만 미국과 유럽연합(EU)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우리 기업의 수출 버팀목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미국과 EU시장에 동시에 수출하는 기업 600곳을 대상으로 '기업의 한미, 한EU FTA 활용현황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수출여건이 악화됐다고 답한 기업은 미국의 경우 62.1%, EU 63.6%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그러나 FTA가 악화된 수출여건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는 미국 66.6%, EU 68.8%의 기업들이 그렇다고 답했다. 실제 FTA 발효 혜택을 체감하고 있느냐에 대해 한·EU FTA가 67.5%, 한·미 FTA 58.8%가 체감한다고 답했다. FTA 발효 후 실제 수출주문은 미국이 5.2%, EU가 18.6%의 기업이 늘었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한·EU FTA에 비해 한·미 FTA의 수출주문 증가효과가 낮은 이유는 협정발효기간이 각각 11개월과 2개월로 차이나기 때문"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두 FTA의 체감도가 동반상승하는 가운데 수출증대 효과가 비슷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FTA 발효를 계기로 수출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도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시장에서 물건을 팔고 있는 기업의 42.1%가 FTA를 계기로 현지 영업망을 확충했다고 답했고 판매가격을 인하했다는 응답도 30.0%였다. EU의 경우 45.9% 기업이 현지 판매가격 인하했고 35.6%의 기업은 영업망 확충에 나섰다고 밝혔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