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이 이르면 다음달 초에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인상시기를 놓고 정부부처간 의견이 엇갈리면서 인상시기가 조율되고 있지만 통상 전기요금 인상안이 제출된 후 한 달여쯤 지난 뒤에 요금 인상이 발표됐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정부 부처 간에 전기요금 인상 시기와 폭을 협의하고 있다"면서 "여름철 빠듯한 전력수급 등을 감안할 때 인상시기를 늦출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이 전기요금 인상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전기요금 인상시기를 놓고 정부부처간 조율을 진행중이다. 한국전력은 지난달 26일 지경부에 평균 13.1%의 전기요금 인상안을 제출했다. 또 이달 30일 지경부는 전력 관계자와 전문위원으로 이뤄진 전기위원회를 개최한다. 이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전기요금 인상 시기와 폭을 결정하고 기획재정부와 최종 조율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전력당국인 지식경제부는 6월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으나 물가당국인 기획재정부는 인상시기를 최대한 늦추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정부는 전기료 인상이 7월로 늦춰지면 절전을 유도하는 효과가 반감된다고 판단, 6월까지는 인상조치를 끝내기로 내부적으로 입장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산업용의 경우 6~8%, 주택용은 2~3% 수준의 인상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평균 4.5%의 전기요금을 올릴 때 산업용은 6.5%, 사무용 빌딩·상점 등 일반용은 4.5% 올렸다. 당시 주택용은 동결됐다.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을 서두르는 가장 큰 이유는 여름철 전력난 때문이다. 올해 때이른 더위로 여름철 전력난이 예상돼 정부는 최근 대책방안까지 발표했다. 예비전력이 비상단계인 400만㎾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경부 등 전력당국은 수요관리로 500만㎾ 이상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전력수요를 줄이는 데 전기요금 인상이 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홍석우 지경부 장관은 "전기요금 인상이 수요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