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는 음식·숙박·소매업 등 생계형 서비스분야에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기중앙회는 동반성장위원회와 함께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서비스업 분야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중소기업연구원 김세종 연구위원은 '서비스 적합업종 추진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적합업종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보호에 부합되는 업종을 정해야 하며 음식·숙박·소매 등 생계형 서비스업을 우선 선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제조업 경쟁력에 영향을 적게 미치는 업종과 대기업이 이미 진입해 있거나 진입가능성이 높은 업종을 우선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전체 도·소매업 사업체수는 88만개이며 종사자는 262만명이다. 이 가운데 소상공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수의 89.4%, 종사자수의 53.6%에 달했다. 그러나 이들 소상공인의 매출액은 29.6%에 그쳤다. 숙박 및 음식점의 경우 전체 사업체수가 63만개로 종사자가 177만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소상공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사업체수의 89.9%, 종사자수의 66.9%를 보였다. 이들의 매출액 비중은 51.9%를 차지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날 대기업의 서비스업 진출을 지적했다. 그는 특히 대기업의 프랜차이즈 사업 진출을 꼬집었다. 지난 2010년 기준으로 대기업이 진출한 프랜차이즈는 179개로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이들이 진출한 업종은 제빵·제과, 교육 서비스, 편의점, 자동차 정비 등으로 가맹점 수는 2만7142개에 달한다. 김 연구위원은 "대기업이 프랜차이즈 형태로 진출한 분야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프랜차이즈 특성을 고려해 진입 규제와 별도로 가맹점과 가맹본부간 동반성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장희 동반위 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해안에 유통·서비스업 분야에서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유 위원장은 "연내 모든 서비스 업종에 대해 (적합업종) 작업이 완료되지 않더라고 빵집 등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업종은 올해 반드시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뉴스1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