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10곳 가운데 6곳은 하반기 국내 경기가 지금보다 더 나빠져 '상저하저(上低下低)'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29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전국 5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상황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59.0%가 지금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비슷할 것과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21.6%, 19.4%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경기 상황에 대해서도 '계속 둔화중' 56.3%, 둔화세는 진정되고 정체된 상황 39.% 등 대부분의 기업이 부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대한상의는 "유럽의 재정위기가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정체를 보이면서 올해 하반기 경기에 대한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국내경기의 최저점으로는 27.4%의 기업이 4분기로 꼽았다. 이어 3분기(24.6%), 내년 이후(21.6%) 등의 순으로 나타나 지난 2월 조사에서 나타난 '2분기 경기바닥론'이 힘을 잃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불안요소의 대내적 요인으로는 내수부진(33.5%), 물가불안(25.0%), 수출둔화(16.9%), 가계부채(12.5%) 등의 순이었다. 대외적 요인으로는 유럽의 재정위기(57.9%), 유가 및 원자재가 상승(32.7%) 등으로 나타났다.
경영애로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부담(30.6%), 판매부진(28.8%), 수익성 악화(25.2%) 등을 꼽았다.
한편 경기회복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 할 과제로는 유가·원자재가 안정(70.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물가안정(42.7%), 내수 불안요인 해소(36.1%), 투자 촉진(35.4%) 등으로 나타났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최근 유럽 재정위기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현재 잠복해 있는 물가불안에 대한 우려도 있어 부진한 수출과 내수가 더 위축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경기가 본격적인 회복세가 나타날 때까지는 정부가 대내외 불안요인을 잘 관리하고 기업 활력이 떨어지지 않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