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9일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 움직임과 관련, "공기업 쇄신을 통해 원가 상승 요인을 흡수하는 노력을 먼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정부가 전기요금 등의 인상 요인을 검토할 때 중산·서민층의 생활이 어려움을 신경 써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특히 한국전력이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에도 경영 성과급을 준 사례를 거론, "이런 사실 때문에 국민이 공공요금 인상을 수긍하지 않는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며 "정부가 이런 부분부터 철저하게 손을 봐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그렇게 해도 해결이 안 되는 건 사용자들이 공평하게 분담토록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며 "과거엔 '원가가 올랐으니 구조 개혁은 적당히 지나가자'고 했지만, 이번엔 정부가 시스템적으로 물가 안정을 노력해야 (국민이) 수긍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진영 정책위의장도 별도 간담회에서 "(공기업이) 자기들은 스스로 절약하지 않는 상황에서 (요금을) 인상하면 국민은 납득하지 못 한다"며 "국민이 동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선행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원내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오는 2031년 우리나라 경제의 잠재 성장률이 1%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데 대해 "여러 가지 환경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전망이 틀리지 않을 것 같아 우려된다"며 "이런 일이 절대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게 새누리당의 임무다.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제시와 신(新)성장 동력을 통한 일자리 창출, 공정한 경제 시스템을 만드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해 올 12월 대통령선거에서 반드시 승리, OECD 전망이 틀리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국제투명성기구(TI)가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부패지수에서 우리나라의 지수가 다시 악화되고 있음을 언급, "법제 선진화와 민간의 부패 비리에 대한 감시 강화도 필수적이지만, 국회가 선진화돼 모범을 보이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이라며 "원내대표단에서 국회가 쇄신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