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해말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차세대 건설기계․부품 특화단지 조성사업'이 올해 7월 부터 본격 추진된다고 밝혔다. 특화단지 조성사업은 2019년 6월 까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인 '경산지식산업지구'내 111만1천㎡(33.6만평) 규모에 총사업비 8천851억원(국비 1천334, 지방비 423, 민자 7천94)을 투입해 조성한다. 사업내용은 건설기계·부품 기술기반 조성을 위해 △건설기계부품의 시험?평가?인증 통합지원을 위한 융복합센터 구축(11만3천㎡), △관련 기업?연구소 등이 집적화된 건설기계부품 전문단지 조성(99만8천㎡), △ 건설기계 핵심부품의 품질 개선 및 전문인력 양성, 국제네트워크 구축 등 종합기술지원사업을 추진하고, △ 대용량 유압, 저탄소발생 동력원, 지능형제어기술 등 차세대 전략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오는 7월 본격적인 사업 착수에 앞서 관련기관 추진체계 구축, 예산확보, 기업 유치 등 사업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도와경산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실무추진협의회를 구성(5개 기관/9명)하고, 격주 단위 회의 운영을 통해 경제자유구역의 조기 개발과 국내외 기업 유치, 기반시설 확충 등 현안사항을 협의?조정해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도는 '건설기계?부품 특화단지' 내 관련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공동으로 연초부터 국내외 대?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투자유치활동을 펼쳐 온 결과 20여개 국내 건설기계 완성차 및 부품 생산기업들이 특화단지 내 입주의사를 확정하거나 입주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업체들은 연내에 경제자유구역 부지가 개발되면 내년부터 건설기계?부품 관련 기업의 입주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한편, 현재 이 사업은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에 사업계획이 제출된 상태로 6월 중 평가를 거쳐 사업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협약 체결 등 모든 행정절차가 마무리 되면 ‘12년도 국비(20억원)를 배정받아 7월부터 융복합센터 실시설계 등 1차년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따라서 2015년 준공되면 대구 경북 인근의 관련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기술고도화 ·첨단화 ·융복합화로 인한 고부가 기술기반을 확보로 고용유발 6천911명, 생산유발 1조 18억원, 부가가치유발 3천791억원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이원열 경북도 신성장산업과장은 "건설기계?부품 특화단지 조성사업추진으로 선진국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는 물론, '대구포 벨트'에 잘 발달된 자동차?IT?철강 등 건설기계 전후방산업과 연계되면 건설기계산업이 지역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상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