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임대주택 재고현황 집계 결과, 장기공공 임대주택 재고가 89만57호라고 6일 밝혔다. 장기공공임대주택은 공공기관과 민간사업자가 주택기금, 공공택지 등 지원을 받아 임대하는 주택으로 임대기간이 10년 이상인 주택을 말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장기공공 임대주택의 재고는 2010년 대비 10.5% 증가했으며 총주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0% 늘어났다. 5년 임대, 민간건설, 매입임대 등을 포함한 총 임대주택 재고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45만9513호로 2010년(139만9000호) 대비 4.3% 증가했으며 총 주택 대비 재고율은 8.1%로 나타났다. 국토부 측은 장기 공공임대주택의 재고 증가와 관련해 "공공부문이 공급하는 임대주택 재고물량이 전반적으로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민임대는 지난 2010년 37만6000호에서 2011년 42만2000호로 총 5만6000호 늘어 증가폭이 2010년 대비 14.8%나 됐다. 전세임대와 장기전세도 각각 1만3000호, 2000호 증가했다. 국토부는 또 전월세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민간임대 활성화 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민간매입 임대사업자는 2011년 기준 총 3만9326명으로 2010년(3만4537명)에 비해 4789명 증가(13.8%↑) 했으며 임대호수도 27만4587호로 2010년 대비 1만4289호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민간매입임대사업자 등록요건을 완화한 데다가 세제지원도 확대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장기공공임대 재고확충을 위해 LH·지자체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보금자리주택 공급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며 "민간부문의 임대주택 공급확대로 전·월세 시장 안정기조가 정착되도록 민간임대사업자 육성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