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가 지금까지 약관으로 제한해온 보이스톡 등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를 전면 허용한다고 7일 발표해 통신업계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요금제에 따라 m-VOIP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는 SK텔레콤(대표 하성민)과 KT(대표 이석채)와 달리 LG유플러스는 모든 스마트폰 가입자가 m-VOIP를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문을 열었다. 이에 따라 통신업체 사이에서 보이스톡을 놓고 서로 다른 해석과 대응책을 내놓아 시장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이날 이상민 LG유플러스 상무는 “그동안 LG유플러스는 전체 이용자 통화 품질을 고려해 마이피플이나 라인 등 스마트폰 무료통화 서비스를 차단해 왔지만 이제는 망 경쟁력이 높아진 만큼 시장에서 경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m-VOIP를 전면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 상무는 또 “LG유플러스는 3위 사업자로서 경쟁사보다 시장 입지가 적은 것이 사실"이라며 "LTE 전국망을 최초로 완성한 네트워크 경쟁력과 편의 서비스에서도 가장 앞선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어려운 결정을 내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LG유플러스의 이 같은 결정에 따라 모든 LG유플러스 스마트폰 가입자들은 사용하는 통신망(2G·LTE)에 관계없이 보이스톡이나 마이피플·라인 등이 제공하는 무료 음성통화 서비스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과 KT는 보이스톡을 비롯한 m-VOIP가 이동통신사의 가장 큰 수익원인 음성 수익을 깎아먹어 투자 여력을 저해한다는 논리로 반대 입장을 펴고 있었지만 LG유플러스의 이날 발표로 설득력을 잃게 됐다. 한 통신업체 관계자는 "LG유플러스가 m-VOIP를 전면 허용한 것은 통신업계의 전반적인 생태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당장의 이익만 염두에 둔 근시안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