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3년간 1600억원의 동반성장 투자재원을 마련, 협력 중소기업에 지원키로 했다.
이번 출연은 지난 3월 정부에서 성과공유제 확산 방안을 발표한 후 대기업으로부터의 출연이 실제로 이뤄지는 첫 번째 사례다.
포스코는 12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대·중소기업협력재단과 함께 '동반성장 투자재원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한용 포스코 사장, 정영태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사무총장, 박원주 산업경제정책관 등 5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출연 기금은 올해부터 3년간 철강재(냉연, 열연, 후판 등) 생산에 있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포스코의 협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산화 개발 및 생산성 향상, 원가절감 성과에 대한 보상 재원 등으로 활용된다.
포스코는 이번 지원으로 국내 협력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번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출연은 제3의 기관을 통한 기금 운용으로 동반성장 활동의 대외신인도를 더욱 높이고, 성과공유제 활동을 보다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성과공유제는 포스코가 2004년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을 위해 처음 도입한 제도로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혁신과제를 발굴해 여기에서 발생한 성과를 현금 보상, 단가 보상, 장기 공급권 등으로 보상해 주는 제도다. 재계에서 반발하고 나섰던 초과이익공유제의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은 지난해 회사 운영회의를 통해 임직원들에게 "성과공유제는 포스코의 동반성장 브랜드로, 동반성장의 가장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포스코는 과제 상시 등록부터 성과보상까지 일괄 관리하는 성과 공유제관리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으며 2011년까지 801개 기업과 함께 1,794건의 성과공유 과제를 수행해 총 826억 원을 중소기업에 성과보상금으로 제공한 바 있다.
이원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