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신입사원의 3분의 1을 지방대 출신으로 채용한다.
또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특별채용 제도를 도입해 대졸공채의 5%를 뽑을 예정이다.
삼성그룹은 3급 신입사원 공채에서 지방대학교 출신 비중을 35%, 저소득층 출신을 5%까지 늘리는 이른바 '함께가는 열린 채용'을 오는 하반기부터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삼성은 이를 통해 채용에 따른 불평등을 해소하고 능력있는 지방대 출신 신입사원을 대거 채용 하는 등 능력위주의 채용정책을 적극 실시할 방침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삼성은 지난 1995년 '열린채용'을 도입해 학력, 성별 등 사회 전반에 자리잡은 관행적 차별을 철폐하고 능력위주 채용문화를 확산해왔다"며 "그러나 최근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채용 기회 불평등이 불거져 지방대 출신과 저소득층 채용을 더 늘리는 과감한 채용정책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삼성은 하반기 3급 신입공채부터 지방 대학생 채용 비율을 현 25~27%에서 35%까지 대폭 늘린다.
삼성은 또 지방대학과 협력을 강화해 별도 학과를 설립하거나 학과내 특성 과정을 운영해 우수인재를 양성하는 산학협력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하반기 3급 신입공채에서는 기초생활수급 대상자와 차상위 계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저소득층 특별채용을 처음으로 실시한다. 이를 통해 해마다 3급 신입사원 채용의 5%인 400~5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삼성은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업, 진학, 장학지원, 취업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희망의 사다리' 채용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3월부터 저소득층 중학생을 대상으로 방과후 학습지원 프로그램 '드림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그룹 관계자는 "희망의 사다리는 드림클래스에 참가하는 저소득층 중학생 가운데 일부 학생을 선발해 고교 진학을 지원한다"며 "진학 후에는 그룹내 각종 장학제도를 통해 이들이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돕고 일부 우수 학생은 채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