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재정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고속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폴란드와의 경제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또 폴란드의 지정학적 특성을 감안해 폴란드를 유럽시장 공략을 위한 전진기지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우리나라의 EU(유럽연합)수출이 감소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EU회원국 가운데 가장 탄탄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 폴란드와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22일 밝혔다.
폴란드는 지난 2004년 EU에 가입한 후 연평균 5%대의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폴란드는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4.4%를 기록했으며 올해 EU회원국이 그리스발 재정위기를 겪는 상황에도 1분기에 3.8%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정부는 폴란드가 이처럼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데에는 탄탄한 내수시장과 활발한 외국인 투자유치외에 폴란드 정부의 재정건전성 강화조치 등 정책노력이 뒷받침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폴란드는 지난해 지방정부의 재정지출을 억제하고 부가가치세율을 기존 22%에서 23%로 올려 재정수지를 개선시켰다.
또한 폴란드는 740개 공기업 지분 매각을 추진하며 지난해 말까지 386억 즈워티(약 114억달러·13조7400억원 가량)의 수입을 확보했다.
재정부 관계자는 "폴란드가 지정학적으로도 EU와 러시아 시장의 전진기지 역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럽의 중국'으로 인식하고 교역 및 투자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고 설명했다.
한편 한-폴란드 교역규모는 지난해 45억 달러로 지난 89년 수교 이후 약 60배 급증했다.
이는 폴란드의 EU가입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와 우리기업의 투자 증가로 양국간 교역이 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