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경기상황에 비상이 걸렸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2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0.4% 성장하는데 그쳤다. 이는 지난 1분기 성장률인 0.9%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치로, 석달만에 경제성장률이 반토막이 난 셈이다. 전기대비 GDP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3%에서 2·3분기 각각 0.8%, 4분기 0.3%로 떨어졌다가 올 1분기 0.9%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었다. 1년전 같은기간 대비로도 성장률은 2.4% 상승하는데 그쳐 2009년 3분기(1.0%) 이후 3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출 측면에서 민간소비 증가세가 주춤한데다 설비투자와 수출도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았다. 민간소비는 승용차와 의류ㆍ신발 등 준 내구재가 늘면서 증가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를 중심으로 6.4% 줄었고, 건설투자는 토목건설부문에 힘입어 0.3% 증가했다. 수출은 석유화학제품, 철강을 중심으로 0.6% 감소했고 수입은 일반기계 등이 줄어들며 1.7% 축소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금속제품, 전기전자기기 부진으로 1년전보다 0.1% 뒷걸음질쳤다. 특히 부동산,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건설업 성장률은 2.1% 뚝 떨어졌다. 그나마 서비스업은 금융보험과 도소매음식숙박업 등이 쑥쑥 늘면서 0.5% 성장했다. 한편 실질국내총소득(GDI)은 전 분기보다 1.0% 증가했다. 이와관련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 등에 따라 교역조건이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무튼 전년 동기대비 성장률이 상반기 2.6% 수준에 그치면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한국은행의 전망치 3%를 달성하기도 버거워졌다. 하반기 뾰족한 경기회복을 기대할만한 요인이 없는데다 정부의 추가 재정투자 규모도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하반기 경기에 먹구름이 드리워지는 가운데 정부로서는 경기부양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경제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