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이나 수요량 변동이 아닌 국제 원유시장 자체적인 문제로 기름값이 10%p 뛸 경우 국내 산업 생산량이 0.07%p 감소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경우 우리나라 수출 주력 업종인 자동차와 IT(정보기술) 제조업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조사됐다.
배성종 한국은행 산업분석팀 차장이 6일 발표한 '유가변동 요인이 산업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국제유가는 △원유 생산 감소 △수요 증가 △고유 충격 등 세 가지 요인으로 상승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선 원유 생산량 감소에 따른 유가상승은 일시적이어서 국내 생산에 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 세계 경기 회복으로 수요가 늘어날 경우 가격효과에 편승해 오히려 국내 생산은 증가했다.
하지만 유가 고유충격으로 기름값이 춤을 출 경우 국내 생산이 뒷걸음질쳤다.
유가 고유충격이란 국제 원유생산량이나 글로벌 경기 흐름과는 무관하게 국제 원유시장 자체 요인으로 발생하는 파급효과를 의미한다.
올 상반기 이란 핵개발 이슈로 시장 심리가 요동치면서 실제 수요와는 상관없이 기름값이 상승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가 고유충격에 따라 기름값이 솟구칠 경우, 석유제품을 연료로 사용하는 제품인 자동차가 가장 타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가 상승한지 7개월 이후부터 자동차 생산량은 뚝 떨어지기 시작해 13개월되는 시점에 감소폭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기준 수출의존도가 65.5%로 다른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IT제조업의 생산도 쪼그라들었다. 3개월 이후부터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9개월이 지날 경우 감소폭이 절정에 달했다.
자동차와 IT의 뒤를 이어 전기장비·기타기계, 목재·펄프·종이, 화학, 음식료 순으로 생산 감소폭이 컸다.
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