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담합의혹과 대출서류 조작 사건, 고무줄 가산금리 등으로 여론의 집중포화속에 사면초가에 빠진 시중은행이 잇따라 대출금리 인하에 착수하고 있다.
7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달 중으로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최고금리를 현행 연 18%에서 15%로 3%p 낮춘다.
정책금융기관에서 보증을 받아 이용하는 보증부여신은 최고금리를 18%에서 13%까지 5%p 내린다.
이와함께 국민은행은 하나은행에 이어 업계 2번째로 영업점장 전결 가산금리를 폐지하기로 했다.
지점장이 제멋대로 가산금리를 부풀리면서 '바가지 이자'를 챙겨왔다는 감사원의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학력차별 논란을 빚은 신한은행도 17%인 대출 최고금리를 인하하기로 하고 이날 열리는 ‘사회책임경영 실천다짐대회’에서 인하폭과 적용시점을 발표할 계획이다. 대출 가산금리 체계도 개선하기로 했다.
지난해 대출 최고금리를 연 19%에서 17%로 끌어내렸던 우리은행은 추가로 금리를 낮추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인하폭을 저울질하고 있다.
또 하나은행도 현행 17%수준인 상한금리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이달 1일부터 중소기업 대출 최고금리를 현행 연 12%에서 10.5%로 끌어내렸다.
연체대출 최고금리 역시 연 13%에서 12%로 1%p 낮췄다.
은행들이 '울며겨자먹기'로 앞다퉈 대출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각종 '스캔들'로 시중은행의 밥그릇 챙기에 대한 여론이 좋지않게 돌아가는데다 금융당국까지 실태조사에 들어가는등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여론재판식의 지점장 전결금리 폐지 조치나 지나친 금리인하 경쟁은 은행 수익을 감소시켜 장기적으로는 고객들에게 또다른 피해를 불러올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