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약관대출 금리를 잇따라 인하하고 있다. 환급금을 미리 빌려주는 상품인만큼 보험사의 부담이 없는데도 그간 높은 이자를 챙겨왔다는 비난이 제기된재 따른 후속조치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10월부터 약관대출 최고 금리를 기존 13.5%에서 10.5%로 3%p 낮추기로 했다. 흥국생명보험도 현재 4.75∼13.5%인 확정금리형 약관대출금리를 내달부터 4.75∼11.5%로 내리기로 했다. 확정금리형 가산금리도 1.5%에서 0.5%로 1%p 끌어내린다. 알리안츠생명도 현재 13.5%인 약관대출 최고 금리를 내달부터 11%로 하향조정한다. 앞서 지난 6월 AIA생명은 12.3%에서 11.3%로, 대한생명보험과 미래에셋생명은 11.5%에서 10.5%로, 삼성생명보험은 10.5%에서 9.9%로 낮춘바 있다. 신한생명도 10.5%로, 현대라이프는 11.5%로 인하대열에 가세했다. 또 이달들어서는 NH농협생명이 약관대출금리를 6.1%로 0.1%p 내렸고, 하나HSBC생명도 금리연동형 약관대출 금리를 4.8∼6.55%에서 4.38∼6.45%로 떨어뜨렸다. 약관대출 가산금리도 조금씩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AIA생명은 최근 확정금리형 약관대출의 가산금리를 2.8%에서 2.5%로 일괄적으로 0.3%p 내렸다. 동부생명도 3.0%였던 가산금리를 2.7%로 0.3%포인트 낮췄다. 우리아비바생명는 2.0~3.25%이던 확정금리형 약관대출 가산금리를 지난달부터 2.0~3.0%로 조정해 상한선을 하향조정했다. 약관대출이란 계약자가 가입한 보험 해약환급금의 70∼80%의 범위에서 수시로 돈을 빌려쓸수 있는 제도다. 만기이후에 받을 환급금을 담보로 하는 대출상품인 것이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전체 보험사 약관대출 (보험계약 대출) 규모는 42조1386억원으로 1년전 36조7486억원에 비해 14.6% 늘었다. 생명보험사의 약관대출 총액은 13.8% 늘어난 36조4265억원, 손해보험사는 20.4%증가한 5조7121억원이었다. 약관대출이 급증한다는 것은 급전에 쫒긴 나머지 가까운 미래 또는 노후 자산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속출한다는 것을 뜻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