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 이석채)가 유·무선 조직을 통합하고 미디어 콘텐츠·위성·부동산 전문회사를 설립하는 등 경영 체제를 전면 개편했다.
KT는 올해 초 수립한 미래 성장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경영 체제 재편을 단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따라 KT는 그동안 상품 및 고객별로 나누어 있던 개인고객부문(무선)과 홈고객부문(유선)을 통합, 기능을 재조정해 'T&C(Telecom& Convergence)부문'과 '커스터머(Customer)부문'으로 재편했다.
상품은 'T&C 부문' 법인이, 고객 서비스 부문은 '커스터머' 법인이 각각 맡는다.
'T&C'법인은 유·무선을 융합한 새로운 형태의 상품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유·무선 전략을 세우고 각종 상품을 개발하는 중심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커스터머 부문'법인은 유선과 무선, 법인으로 나뉘어져 있는 42개 연장 조직을 11개 본부로 통합한 조직을 함께 운영하게 된다. 시설과 개통, 사후서비스(AS)를 담당하던 인력 일부도 커스터머 법인으로 편입된다.
이와함께 전국의 플라자(옛 전화국)를 비롯한 각종 유통채널과 연계해 업무 시너지를 높이는 전략을 짜는 '가치혁신 상호기능팀(CFT)'도 신설됐다.
아울러 KT는 성장세가 다소 주춤해진 미디어콘텐츠와 위성, 부동산 등 3개 분야는 독립 운영을 하기 위해 별도의 전문회사 설립을 추진키로 했다.
이들 3개 영역은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규모가 큰 통신영역에 가려 경쟁력을 갖추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별도 설립되는 법인은 KT내 관련 분야 사업을 기본으로 분야별 전문 인력을 영입하고 글로벌 기업과의 다각적인 제휴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KT는 미디어콘텐츠 사업의 경우 인프라 경쟁력을 토대로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회사로 성장시킬 것으로 전해졌다.
신설되는 법인 3곳의 사업 범위와 세부 사항은 추후 이사회를 거쳐 확정된다.
김일영 KT 코퍼레이트센터장(부사장)은 "이번 경영체제 개편을 통해 조직 간 시너지는 물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며 "향후 설립될 법인을 주요 성장사업으로 키워서 관련 산업의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