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부터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의 조합으로 포털사이트·게임회사 등에 실명 확인을 해주던 신용평가기관의 실명확인 서비스가 완전히 중단될 전망이다.
21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계철)와 인터넷 업계에 따르면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하는 대신 신용평가기관의 실명확인 서비스를 이용했던 포털사이트·게임회사 등의 실명 인증 방식이 9월부터 변경된다.
현재 사용하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방식 대신 '이름·생년월일·신용카드번호', '이름·생년월일·휴대전화번호' 혹은 '이름·생년월일·주소'의 조합으로 바뀌는 것이 유력하다.
신용평가회사의 실명인증 서비스는 인터넷 사이트에 회원을 가입할 때 각 사이트가 아닌 신용평가회사가 실명을 인증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터넷 사이트나 운영 회사가 개별 회원의 주민등록 번호를 수집하지 않아도 돼 포털사이트, 게임업체는 물론 정부기관의 사이트에서도 이를 많이 사용해왔다.
NICE신용평가정보, 서울신용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 등 신용평가기관들이 이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들 업체는 8월18일부터 인터넷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것을 막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효됐지만 유예기간인 2013년 2월 18일까지 이 서비스를 지속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포털사이트와 게임회사가 아직도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하고 있다는 오해가 생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신용평가회사의 실명인증 서비스를 예정된 일정보다 빨리 중단하는 것을 유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는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 신용평가기관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9월 중 주민등록번호 대신 휴대전화 번호나 생년월일, 신용카드 번호 등을 활용한 실명인증 서비스가 도입될 것으로 관련 업계는 관측했다.
또 각 사이트에 회원을 가입할 때 진행하는 휴대전화 인증은 자체적으로 처리하고 셧다운제같이 나이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만 신용평가기관의 휴대전화 실명확인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게임업계는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