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96만3000원으로 전년동월 대비 6.2% 상승했다.
소비자 물가지수를 고려한 실질임금 역시 전년동월 대비 3.9% 상승해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7월(임금·근로시간은 6월 급여계산기간) 기준 농업을 제외한 사업체 2만8000개를 표본으로 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임금상승은 초과급여가 1인당 19만6000원으로 올해 들어 가장 큰 6.5% 상승한데가 특별급여 역시 1인당 49만원으로 5.1% 상승해 2월 이후 가장 크게 증가한 결과다.
올해 2/4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84만1000원으로 전년동기(270만3000원) 대비 5.1% 상승했다. 실질임금 역시 267만8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7% 상승했다.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2.1시간으로 전년동월(179.6시간)대비 4.2% 감소했다. 이는 월력상 근로일이 1일 적었기 때문이라고 고용노동부는 설명했다. 상용근로자 중심의 고용증가세도 유지되고 있다.
7월 기준 근로자 수는 1476만1000명으로 전년동월(1440만1000명) 대비 35만9000명(2.5%) 증가했다.
규모별로 보면 상용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수는 236만2000명으로 전년동월(236만2000명)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수는 1239만8000명으로 전년동월(1204만명)대비 3%(35만9000명) 증가했다.
반면 빈 일자리수는 12만2000개로 전년동월(13만8000개) 대비 1만6000개 감소해 2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