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국제곡물가격이 장기적으로 상승추세라며 이에 대한 중장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주요 생산지의 가뭄으로 인해 국제곡물가격이 상승해 개별 국가가 이에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국제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재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최근 국제곡물가격 상승요인 분석과 시사점'을 발표했다.
기재부는 최근 미국, 남미, 러시아 등 주요곡물 생산국에서 극심한 가뭄으로 국제곡물가격이 급등해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그플레이션이란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통상 국제곡물가격 상승은 4~7개월의 시차를 두고 국내물가에 반영된다.
지난 7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명목식품지수는 213을 기록해 전월에 비해 12포인트 상승했다. 또 7월 미국 지역의 옥수수와 콩의 선물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애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기재부는 단기를 비롯한 중단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기재부는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력(26.7%)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최하위권이라며 식량안보 차원에서 곡물자급률을 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외농업개발을 지원해 유사시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협약 등을 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특히 이번 애그플레이션과 관련해선 개별 국가의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세계연합(UN)·주요20개국(G20)·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다자간협의체 및 주요 곡물 수출국과 양자면담을 통해 국제 공조를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장 기재부 대외경제총괄과장은 "곡물선물 투기에 대해 적절한 견제장치를 마련해 변동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허 과장은 "바이오 연료 의무사용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식품 가격 안정 등에 대한 국제적 합의와 국제공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