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주택 매매 거래량이 사상 최저치로 추락했다. 3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2006년~2012년(매년1~7월) 기간의 주택 거래(매매)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1~7월 전국적으로 40만799건을 기록했다. 국토해양부가 실거래(매매)량을 집계·발표한 2006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14만7118건, 지방이 25만3681건 거래됐다. 올해 1~7월 전국 주택거래량은 40만799건이었다. 2006년 47만여건, 2010년 44만여 건 이후 최저치였다. 지난해 같은기간 57만3999건에 비해서는 30.2%나 급감해 거래위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별로는 1년 전에 비해 아파트가 41만7065건에서 26만9130건으로 35.5% 감소했고 연립주택(-19.7%), 다세대주택(-16.4%), 단독주택(-16.0%), 다가구주택(-9.3%)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다가구주택을 제외한 단독, 다세대, 연립, 아파트 유형의 거래량이 역대 최저치였다. 올 1~7월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아파트 -36.6%, 단독 -26%, 다세대 -22.9%, 연립 -20.7%, 다가구 -15.9%로 줄었다. 실거래(매매)가 가장 많았던 2008년(1~7월)과 비교하면 연립 -69.1%, 다세대 -66.6%, 단독 -58.3%, 다가구 -57.4%, 아파트 -50.2%를 기록할 정도로 거래시장 침체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지난 해 1~7월 거래량이 35만7743건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방 역시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기간 25만3681건으로 29.1% 감소해 매수세 둔화 움직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4.9%로 가장 많이 줄었고 이어 연립 -18.9%, 단독 -12.9%, 다가구 -5.6%, 다세대 -3.6% 순이다. 나인성 부동산써브 리서치팀장은 "대내외 경기불안과 국내 부동산시장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리면서 거래량이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면서 "단기간에 경제회복 등을 위한 돌파구가 마련되지 못한다면, 현재의 주택시장 거래위축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제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