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이 가속화됨에 따라 고소득층까지 유니클로, 자라, H&M, 코데즈컴바인, 스파오 등 이른바 SPA(제조·유통 일괄 의류) 의류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서울·수도권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SPA브랜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98.4%가 "SPA브랜드에 대해 알거나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 중 42.7%가 "SPA브랜드를 여타 의류브랜드보다 선호한다"고 답했다. 소득별로는 월평균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50.8%), '300만원~500만원 미만'(44.4%), '500만원~700만원 미만'(44.0%), '300만원 미만'(31.6%) 순으로 선호도가 컸다. 성별로는 남성(46.9%)이 여성(38.5%)보다, 연령대별로는 '20대'(50.5%), '50대 이상'(46.6%), '40대'(42.0%), '30대'(34.8%) 순으로 SPA브랜드를 선호하고 있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경기침체가 장기화됨에 따라 실속형 소비 성향이 강해졌고 고소득층에서도 가치지향적 소비 추구로 일부 고가제품을 제외한 기본 아이템은 저가 상품으로 구매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SPA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은 그 이유로 '저렴한 가격'(84.8%)을 첫 손에 꼽았고 '다양한 상품종류'(49.5%), '디자인'(41.9%), '품질'(41.4%), '넓은 매장과 쇼핑분위기'(32.4%), '브랜드 이미지'(21.9%), '글로벌 트렌드'(16.2%) 등을 차례로 꼽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