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김장대란'을 막기위해 국민들이 김장시기를 늦추도록 유도해나갈 방침이다. 태풍과 재배면적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급에 차질이 생겨 김장대란의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15일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배추 수급조절 등 대응책을 내놨다. 김장배추는 예년보다 재배면적이 약 5% 줄어들고 볼라벤 등 태풍의 영향으로 출하시기가 10여일 지연됨에 따라 수급불일치의 우려가 제기는 상황이다. 정부는 김장대란에 대응키 위해 농림식품부 2차관을 반장으로 관계부처 합동대책반을 구성, 시장상황을 살피고 수급불안에 대처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겨울 배추를 오는 12월 중 조기 출하를 유도하는 한편 김장시기를 늦추는 방안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시기가 늦을수록 김장비용이 감소하는 '전고후저'가 예상됨에 따라 시기별 김장비용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면서 "대형유통업체의 예약판매를 협조하고 소비자단체와 연계해 김장 늦춰 담기 운동 등을 전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김장배추의 정부비축 및 계약재배물량을 활용해 농협매장과 대형유통업체에서 할인행사를 추진하고 김장시장도 전년(60개)보다 40개 이상 늘려 개설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올해 쌀 생산량이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대체가능한 2011년산 정부재고분을 적절한 시기에 시장에 내놓는 한편 올해 정부가 사들일 예정(37만톤)인 쌀의 수매량과 시기를 상황에 따라 조정할 예정이다. 더불어 3만6000톤의 밥쌀용 수입쌀 재고분을 활용하고 내년까지 20만7000톤으로 예정돼 있는 수입량을 앞당길 방침이다. 박 장관은 "10월 들어 양호한 기상여건 등으로 농산물의 수급상황이 개선되면서 정상화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폭염·태풍 등의 영향이 쌀과 김장채소 작황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유가강세 등 적지 않은 불안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임기말까지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물가안정 기조 정착을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