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프리카 발전을 위해 1500만 달러를 출연한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서울 중구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장관급 경제협력회의'에 참석, 개회사를 통해 "(내년부터) 향후 2년간 아프리카개발은행 신탁기금에 1500만 달러를 출연하고 대외개발협력기금(EDCF) 및 지식공유(KSP)사업 등 양자협력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장관은 "물론 지원 금액만 놓고 보면 주요 경제국에 비해 여전히 적은 규모"라며 "하지만 한국의 지원에는 어느 선진국도 대신할 수 없는 소중의 경제발전경험을 담겠다"고 강조했다. 재정부에 따르면 정부의 대(對)아프리카 교역은 최근 5년간 157억 달러에서 251억 달러로 60% 늘었다. 또 아프리카에 대한 직접투자는 3억7200만 달러로 5년전에 비해 80% 증가했다. 공적개발원조(ODA)의 경우 지난 5년간 5100만 달러에서 1억8100만 달러로 260% 급증했다. 박 장관은 이날 개회사에서 포용적 성장을 강조했다. 그는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은 지역이나 경제발전 수준에 관계없이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며 "포용적 성장은 사회 불평등 해소를 통한 조화로운 사회발전과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뜻하는 패러다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달리기 경주에서 뒤처지고 탈락한 사회적 약자를 끌어안고 함께 결승선을 향해 뛰어가는 상생의 노력"이라고 덧붙였다. 박 장관은 "아프리카가 현재의 경제발전 모멘텀을 유지하면서 포용적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비롯해 과거 성장단계를 거친 국가들의 예를 타산지석으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포용적 성장정책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일자리 창출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면서 교욱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제도를 도입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