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12일 북한의 로켓 발사와 관련, "금융시장의 미치는 여파는 거의 없을 것"이라며 "다만 제재에 따른 추가도발 움직임에 대해서는 경계감을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후 합동 비상금융상황회의를 열고 이같은 금융당국의 판단을 설명했다.
회의는 이날 오전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로 추정되는 로켓을 쏘아올림에 따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향 등을 점검하기 위해 긴급소집됐다.
당국에 따르면 북한의 로켓발사가 국내 금융시장에 준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시장은 발사직전 대비 오히려 1.31포인트(0.07%) 상승했으며 외국인도 278억9000만원 어치를 추가로 매수했다. 원달러환율도 1.7원(0.16%) 오르는 데 그쳤다.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대체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이다. 일본증시는 0.23% 올랐으며 홍콩과 대만의 증시도 각각 0.53%, 0.73% 상승했다. 중국은 0.13% 떨어지는 데 그쳤다.
이에 대해 당국은 이번 로켓발사가 '학습효과' 및 사전예고로 이미 금융시장에 선(先)반영된 결과, 그 충격이 일시적이고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추경호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번 미사일 발사는 언론 등의 예상과 달리 다소 갑작스럽게 발사되었으나, 이미 예견되었던 것으로 금융시장에 큰 영향은 없다"며 "금감원 해외사무소와 주요 시장전문가 등을 통해 점검해 본 결과, 대체적으로 이번 미사일 발사의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이 이번 로켓발사로 UN 안보리 및 주요국의 제재를 받게 될 경우 이에 대한 반발로 추가도발을 할 가능성이 유념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추 부위원장은 "향후 북한의 행동에 따라 단기적으로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영향 등을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시 신속하게 적절한 시장안정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와 금감원은 지난 1일 북한이 미사일 발사계획을 발표한 뒤부터 '비상금융통합상황실'을 공동으로 운영하며 금융시장 상황과 외국인 자금흐름 등을 모니터링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