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가 2016년까지 남극 연구에 8000억원을 투입해 2021년에는 극지연구 G7국가로 진입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국토부는 남극연구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제2차 남극연구활동 진흥 기본계획'을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계획은 올해부터 2016년까지 진행된다. 국토부는 '남극활동 및 환경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5년마다 남극 연구에 대한 수준 향상을 위해 국가적 비전과 정책방향을 제시해 왔다.
지난 1차 계획에서는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 등 극지인프라와 국제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번 2차 기본계획에서는 1차 계획을 기반으로 앞으로 남극 활동 지원체제를 선진화하고 남극연구활동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2대 세부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남극에 상주기지를 마련하고 극지연구 G7국가로 진입하겠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국토부는 계획의 실현을 위해 총 8개의 중점과제로 △친환경 연구인프라 구축·운영(3045억원) △연구활동 지원체제 정비와 협력기반 강화(1678억원) △대국민 인식제고와 전문인력 양성(141억원) △지속가능한 연구기반 마련을 위한 환경 보호활동 강화(165억원) △글로벌 이슈대응을 위한 남극 기후변화 연구(1110억원) △극지연구영역 다변화를 위한 남극 대륙 연구(726억원) △실용 가능한 응용연구 및 미답지 조사(677억원) △극지 융·복합연구와 극한지공학 기술개발(375억원) 등을 설정했다.
또 국토부는 이번 계획이 보다 실효성 있게 추진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세부적인 연도별 실행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2차계획을 통해 그동안 일부 기초연구분야에만 치중됐었던 한계에서 벗어날 것이다"라며 "앞으로 대륙기반 연구와 생명공학, 극한지 건설공학 등 응용 연구분야까지 연구영역을 다변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