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환율 변동으로 막대한 손해를 본 수출 중소기업도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가 중소기업진흥공단을 통해 긴급경영안정자금 등을 투입키로 결정한데 따른 것이다.
기획재정부 등 관계기관 합동은 22일 '환율하락 산업계 영향 및 대응방안'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이 같이 밝혔다.
정부는 올해 250억원으로 책정된 긴급경영안정자금의 일시적 경영애로 자금 지원대상에 환율 변동에 따른 피해기업을 추가했다.
현행 외환부문 지원대상은 키코(KIKO) 또는 외화대출에 의한 피해기업만 해당된다. 이를 환율 변동에 따른 피해기업까지 확대한 것. 키코는 구매자인 기업과 판매자인 은행이 외화를 사고팔 권리(옵션)를 각각 가지는 파생상품을 말한다.
지원 대상은 수출중소기업 가운데 매출액 대비 수출실적 비중이 30% 이상인 기업 중 전년도 매출액이 30% 이상 하락한 기업이다.
또 환율 변동 피해기업에 대한 상환유예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올해 수출금융지원자금(올해 700억원)의 회전율(2.5배)을 지난해(1.3배)의 2배 가까이 올려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또한 정부는 수입실적 인정기간을 현행 2개월에서 3개월로 확대해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한도를 확대하는 등 수출금융 지원폭을 늘린다.
이 밖에 수출 중소기업의 단기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을 통해 올해 9조5000억원 규모의 신용보증을 공급키로 했다. 또 수출입은행이 올해 책정한 대출액(50조원) 중 45%인 22조5000억원을 중소기업에 배정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책자금 등 외에 중소기업청과 금융감독원 등을 통한 환위험관리 실태점검과 컨설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