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침체와 가격약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전셋집에 살고 있는 무주택자가 내 집을 갖기 위해서는 약 1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는 29일 전용면적 84㎡형의 전국 아파트를 기준으로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는 추가비용을 살펴본 결과, 평균 1억756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와 비교해 볼 때 전세보증금에 더 보태야 하는 추가비용 부담이 전국 평균 4015만원 낮아진 것이다. 특히 수도권의 내 집 마련 문턱이 낮아졌다. 수도권은 2008년 2억2702만원에서 2013년 1월 현재 1억5008만원으로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자금이 7694만원 정도 줄었다. 전셋값이 상승한 탓도 있지만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높기만 했던 내 집 마련의 문턱이 낮아진 것이다. 또한 동일한 금액에서 선택 할 수 있는 아파트도 상대적으로 늘었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전세탈출 비용 부담이 2008년과 비교해 많이 줄었지만 지방에 비해서는 여전히 수도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서울 2억904만원 △경기 1억2159만원 △인천1억1698만원의 추가 자금을 마련해야 지금 살고 있는 전셋집이 내 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지방은 전세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매매가격이 저렴한 덕에 평균 5831만원의 추가비용만 있으면 지금 살고 있는 전셋집이 내 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돼 여전히 수도권보다 부담이 덜했다. 지역별로 광주가 3650만원으로 가장 추가 비용부담이 덜했고, 이어 △경북 4153만원 △전북 4773만원 △충북 5571만원 △강원 5731만원 △제주 6110만원 △부산 7573만원 순으로 추가비용 부담을 보였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현재의 전세금 보증금을 이용해 추가비용 부담이 낮은 중소형 주택을 살펴 본다면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엿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전셋값 추가 상승과 집값 하락이 겹치면 전세비중이 높은 아파트의 경우 추가 비용 부담이 낮아 내 집 마련을 고려 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