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 홍합, 바지락 등 일부 수산물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돼 조리와 취급에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 판매중인 7종의 수산물 100건을 조사한 결과 굴 40건 중 1건, 바지락 10건 중 2건, 홍합 10건 중 1건 등 총 4건(4%)의 수산물에서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31일 밝혔다. 키조개, 꼬맘, 멍게, 해삼에서는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노로바이너스는 식중독 발생의 원인이 돼 급성 위장염을 일으킨다. 노로바이너스 예방을 위해서는 수산물을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한다. 또 냉장·냉동 온도에서도 감염력을 유지하므로 위생적으로 조리되지 않거나 잘못 취급한 경우 조리기구 또는 주방시설에 교차 오염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산물을 조리한 기구는 사용 후 세제와 뜨거운 물로 씻고, 락스 등 소독제를 40배(염소농도 1000 ppm) 희석해 소독한 후 다른 식품에 사용해야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소비자원이 2011년 실시한 축수산물 위생관련 소비자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5.4%만이 수산물 조리 후 조리기구나 주방시설을 소독제(락스 등)로 세척한다고 답했다. 한국소비자원은 "관련기관에 지속적인 노로바이러스 오염 방지 노력과 함께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사전예방 교육을 실시토록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의하면 식중독은 최근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겨울철(12월~2월)에도 연평균 55건 발생했다. 특히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은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일본의 경우 2012년12월에만 3524명의 노로바이너스 식중독 환자가 발생해 이중 11명이 사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