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동산담보대출 실적이 당초 목표보다 크게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8월8일 국내은행들이 동산담보대출을 출시한 이후 연말까지 동산담보대출 취급실적은 모두 1369개 업체, 3485억원에 이른다고 4일 밝혔다. 이는 당초 취급목표액인 2000억원의 1.7배 규모다. 담보대출된 동산을 종류별로 보면 유형자산 1329억원(38.1%), 재고자산 1317억원(37.8%), 매출채권 749억원(21.5%), 농축수산물 90억원(2.6%)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 중 유형자산의 경우 절삭기, 사출기, 선반, 분쇄기 등과 같은 범용성 기계 위주였으며 재고자산은 철강, 아연, 동판, 석재, 골재, 코일, 전자부품 등이 다양하게 취급됐다. 농축수산물의 경우 쌀(60억원), 소(20억원), 냉동수산물(10억)이 주로 담보물로 설정됐다. 이같은 지난해 동산담보대출의 실적이 예상외로 좋게 나타나자 올해 동산담보대출 목표도 크게 상향됐다. 금감원은 국내은행들이 올해 동산담보대출 취급 목표액을 1조8000억원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취급실적의 5.2배다. 금감원은 올해 말까지 취급 누적액 2조원 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했다. 은행별로는 주요 시중은행과 기업은행이 1500억~3000억원, 지방은행이 300억~500억원을 취급할 계획이다. 한편 은행들은 동산담보대출의 활성화를 영업점 경영성과평가(KPI)시 중소기업대출 보다 동산담보대출 실적에 높은 가중치(120∼200%)나 특별가점을 부여할 예정이다. 금감원도 2월중 은행권과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여신대상자 및 담보물 인정범위 확대, 담보인정비율 상향 조정 등 동산담보대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제도가 정착될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 3분기 중에는 여신전문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유관기관과 공동 T/F를 구성하여 제2금융권의 동산담보대출 제도 도입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