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이 다시 30만명대를 회복했지만 고용률은 석달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32만2000명 증가했다. 한 달 만에 30만명대로 회복한 셈이다. 취업자 증가폭은 지난해 12월 27만7000명을 기록하며 크게 떨어졌다. 같은해 10월과 11월은 각각 39만6000명, 35만3000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제조업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증가하면서 전월 20만명대였던 취업자수 증가폭이 30만명대를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고용률은 57.4%를 기록하며 전년과 동일했으나 전월비로 석달째 감소세를 보였다. 고용률은 지난해 10월 60.1%를 기록한 후 11월 59.7%, 12월 58.3%, 1월 57.4% 등 최근 내림세다.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은 40.0%로 전년에 비해서는 0.8%p 하락했지만 전월 보다는 0.7%p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20대 후반(25~29세)의 경우 68.0%를 기록, 전년동월대비 1.1%p 감소, 전월대비 0.7%p 상승했다. 지난달 실업자수는 전월에 비해 11만명 늘어난 84만7000명을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6000명 줄었다. 통계청은 전월대비로 실업자수가 급증한 것에 대해 "매년 1월에는 졸업을 앞두고 채용과 구직활동이 활발해져 실업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실업률은 3.4%로 전년보다 0.1%p 줄었고 전월에 비해서는 0.5%p 상승했다. 청년층과 20대 후반의 실업률은 각각 7.5%, 6.4%를 기록했다. 산업별 취업자는 제조업(15만600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0만5000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7만6000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5만3000명) 등이 전년에 비해증가했고 도매 및 소매업(5만5000명), 건설업(4만8000명),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4만4000명) 등은 감소했다. 취업구조를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은 지난해에 비해 52만3000명 증가했으나 임시직과 일용직은 각각 7만7000명, 4만9000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서는 자영업과 무급가족종사자 모두 2만1000명, 5만4000명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전년동월대비 23만9000명 증가했다. 재학 및 수강 등 취업준비자가 전년보다 5만6000명 늘어나는 등에 따른 이유다. 이 밖에 지난 1년간 구직을 시도했으나 취업을 포기한 구직단념자는 21만2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000명 늘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