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여전히 국내 경제성장 속도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2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가계신용은 지난해 4분기에 23조6000억원이 늘었다.
가계신용이란 금융기관에서 빌린 대출과 카드ㆍ할부금융사의 외상판매를 합친 것이다. 사실상의 가계부채라고 볼 수 있다.
이 중 가계대출은 모두 19조9000억원이며 판매신용은 3조8000억원이며 전체 잔액 959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취득세 등 부동산 거래세 감면혜택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커졌으며,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대출과 기타금융기관 대출도 각각 기타대출과 자산유동화회사 및 보험기관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판매신용도 계절적인 요인으로 증가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전체 가계신용 전년동기대비 4분기 증감률은 5.2%로 직전분기 5.4%보다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2011년 3분기부터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며 긍정적인 해석을 내렸다.
실제 가계신용 증가율은 지난 2011년 2분기에는 9.1%까지 치솟았으나 3분기 8.88%, 4분기 8.1% 등 증가세가 둔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 가계신용 증가율은 여전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보다 높다. 격차도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 1월24일 발표한 '2012년 4/4분기 및 연간 국내총생산'에 따르면 지난 4분기 GDP는 0.4% 증가했으며 연간 2.0% 증가하는데 그쳤다.
GDP성장률에서 가계신용 증가율을 뺀 격차는 2012년 1분기에는 2.7%p 였으나 4분기에는 3.2%p(5.3%-2.0%)로 커졌다.
한편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가 차기 박근혜 정부에 최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외신 등을 통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한국의 가계부채가 미국이 서브프라임모기지론으로 인한 위험에 처했을때보다 심각하다"며 "이 문제는 '국민 행복 시대'를 만들겠다고 한 박 당선인의 공약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