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시대를 맞아 상당수 국내기업들은 향후 여성임원 수가 지금보다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최근 대·중견기업 300여개사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여성인재 활용에 관한 기업인식'을 조사한 결과, 향후 여성임원·관리자 수에 대한 전망으로 응답기업의 43.8%가 '늘어날 것'이라고 답했다고 19일 밝혔다.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53.9%, '줄어들 것'이라는 답변은 2.3%에 그쳤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58.1%)이 중견기업(39.1%)보다 여성임원이 늘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대한상의는 "최근 건강, 엔터테인먼트, 패션, 화장품 등 소프트한 산업들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는 한편 소비력을 갖춘 젊은 여성층이 핵심 소비집단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에 여성임원을 늘려 기업경영전략 수립에 여성의 풍부한 감성과 섬세함을 반영하려는 기업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성의 업무능력에 대해서도 남성과 대등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신입남성직원 대비 신입여성직원의 업무역량을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78.6%가 '남성과 비슷하다'고 답했다. '남성보다 우수하다'는 답변도 13.9%로 '부족하다'(7.5%)는 응답을 앞질렀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수한 역량으로는 친화력(37.5%), 성실성․책임감(35.9%), 창의성(26.0%)을 차례로 꼽았다. 부족한 역량으로는 리더십(36.2%), 팀워크(30.9%), 주인의식(26.6%) 순으로 답했다. 여성인재 확보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점차 늘고 있긴 하지만, 기업 내 여성임원 수는 아직까지 많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대표나 임원 중 여성이 1명이라도 있다는 기업이 4곳 중 1곳(23.7%)에 불과했고, 이들 기업 1개사당 여성대표․임원 수도 평균 2.2명에 그쳤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1.8명)이 중견기업(2.3명)보다 적었다. 상의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고 있지만 남성에 비해 핵심 업무를 경험할 기회가 부족하고, 출산․양육부담으로 경력단절을 겪는 여성이 많았던 탓"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