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물 가격 하락과 정부의 보육료 지원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섯달째 1%대 상승을 이어갔다. 하지만 전반적인 식탁물가와 공공요금이 들썩이고 있어 마음을 놓고 있을수만은 없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3% 뛰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1월(1.6%) 이후 매달 1%대 상승세다. 소비자물가 증가율이 5개월 연속으로 1%대를 기록한 것은 정부의 보육료 지원 확대 효과덕이 컸다. 정부는 종전 0~2세를 중심의 보육료 지원을 지난달부터 0~5세까지 확대했다. 때문에 유치원 납입금과 보육시설 이용료, 학교 급식비 등은 각각 전월에 비해 24.9%, 23.3%, 11.1% 줄었다.이에따라 기타상품 및 서비스의 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1.1% 감소했다. 가정의 보육료 부담이 줄었지만 식탁물가는 여전히 높게 형성됐다. 지난달 채소와 과일의 물가상승률은 각각 7.6%(전년동월대비), 3.6%를 기록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훌쩍 넘어섰다. 귤(14.0%), 양파(12.9%), 바나나(8.5%), 닭고기(7.8%), 배추(6.3%) 등은 올랐고 오이(-27.3%), 시금치(-36.8%), 돼지고기(-5.8%), 호박(-21.0%) 등은 크게 내렸다. 지난달 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지난 1월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기·수도·가스 가격도 치솟았다. 지난달 전기·수도·가스는 전월 대비 1.8%, 전년 동월 대비 6.1% 각각 상승했다. 특히 도시가스가 지난해 3월보다 8.9% 올랐고 지역난방비는 6.5% 상승했다. 정부는 농축수산물 등 식탁물가에 영향을 주는 품목의 물가를 잡기 위해 유통단계 축소를 골자를 하는 '유통구조 개선 종합대책'을 오는 5월 말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농산물의 수급불안에 비축물량 등을 방출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쟁촉진과 정보공개의 확대로 유통구조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