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로 중소기업의 채용규모가 전년대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대기업의 신규인력 채용규모는 전년대비 소폭 늘어날 전망이어서 채용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이희범)가 전국 435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3년 신규인력 채용동태 및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규인력 채용에 있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가 뚜렷해 질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규모별 신규인력 채용 증가율은 대기업이 전년 대비 3.2%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4.9%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은 증가세였던 작년(+2.4%p)에 비해 크게 감소(7.3%p)할 전망이다. 이는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경영환경 악화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에 더욱 크게 영향을 미쳐 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고졸 채용 증가율은 5.1%로, 2012년 시작된 고졸 신규채용 확대 추세는 올해에도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졸 채용 증가율은 1.8%로 조사돼 학력별 채용 증가율 격차(3.3%p)가 작년보다(2.8%p) 더 커졌다. 특히 1000인 이상 대기업의 고졸 채용 증가율은 6.6%로, 300~999인 기업(1.5%), 300인 미만 기업(-3.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올해 기업의 65.8%가 신규인력 채용계획이 있거나 이미 채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 중 43.8%는 채용의 이유로 '결원충원'을 꼽았다. 한편 '일자리 창출 분위기 동참'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10.1%에 달하는 가운데 기업규모별로 대기업은 19.7%에 달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6.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규인력을 채용하지 않거나 채용규모를 줄이겠다고 답한 기업 중 30.4%는 '체감경기 미회복'을 이유로 응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35.6%가 이 항목을 택해 대기업(14.7%)의 두 배가 넘는 비중을 보이고 있었다. 이밖에도 인건비 압박(24.6%), 정치경제 불확실성 증가(22.5%), 투자규모 동결축소(10.9%) 등이 미채용과 채용 축소의 이유로 나타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