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미래창조과학부와 공동 추진하는 나노융합 상용화 R&D(사업화 연구개발) 사업인 '나노융합 2020' 사업에 올해 153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라 밝혔다. 지난해 양부처 합쳐 67억원 수준이었던 지원 규모가 두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나노융합2020사업은 산업부와 미래부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구부터 사업화 단계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도입됐다. 오는 2020년까지 총 9300억원을 투자해 세계적 수준의 나노 강소기업 20개을 육성하고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하겠다 것이 핵심 내용이다. 올해 나노융합 2020 사업에는 NT(나노기술)-IT(정보기술), NT-ET(환경기술) 등 2대 나노기반 융합분야의 4개 세부기술분야에서 3년 안에 상용화가 가능한 과제를 신규 선정할 계획이다. 신규과제 지원예산 규모는 83억원 정도다. 지원대상은 기존에 미래부 등 정부지원을 통해 대학이나 연구소가 개발한 특허나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가 필요한 선정과제 등이 대상이다. 상용화의 기준은 △개발제품의 매출이 발생한 경우 △제품의 납품주문을 받은 경우(시장창출형) △상업적 시제품을 출시한 경우(제품완성형) △나노공정 도입으로 10% 이상 생산성이 증가한 경우(공정혁신형) 등이다.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는 과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사업전담기관인 (재)나노융합2020사업단에서 과제수행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문가 자문단을 통해 기술적 애로해결에 필요한 직·간접적 지원을 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에는 기존의 우수 연구성과 상용화 사업 외에 기업의 기술현안 해결을 위해 기술지도 및 자문을 통한 '기술매칭 사업을 시범적(5억원 내외)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2013년도 사업계획은 (재)나노융합2020사업단 홈페이지(www.nanotech2020.org)에 공고돼 있으며, 과제접수는 이달 16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실시된다. 이어 신규과제 선정은 5월 중 발표 및 현장 평가가 이뤄진 뒤 6월에 과제협약 및 과제착수가 이뤄질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한 사업계획 설명을 위해 8일 한국연구재단(서울청사)에서 나노융합분야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나노융합 2020 사업 설명회 및 나노융합기술 산학연 교류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김학도 산업부 창의산업정책관은 "혁신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나노원천기술 연구성과를 산업계 니즈와 연계, 신제품· 신시장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나노융합2020사업이야말로 창조경제 구현의 좋은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