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밝혔던 예상치(0.8%)보다도 높은 수치로 최근 한은의 잇딴 금리동결 결정도 설득력을 갖게 됐다. 한국은행은 25일 '2013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보고서를 통해 올 1분기 실질 GDP가 전분기보다 0.9% 성장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인 0.3%에 비해 세배 가량 상승했다. 올 1분기 전기대비 GDP 성장률은 지난 2011년 1분기(1.3%) 이후 2년 만에 최고치다. 전기대비 성장률이 깜짝 성장을 보인데 반해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1.5%에 그쳤다. 3년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4분기와 같은 수준이다. 지출 측면에서 민간소비가 감소했지만 건설 및 설비 투자와 수출이 증가로 전환해 한국 경제 성장에 힘을 실었다. 민간소비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등이 줄어들어 0.3% 감소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 및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2.5% 증가했으며 설비투자도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늘어 3.0% 증가세를 보였다. 수출은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3.2% 성장했으며 수입은 전기기계 및 석유화학제품 등이 늘어나며 2.5% 증가했다. 경제활동별 GDP를 보면 농림어업이 감소했으나 제조업, 건설업 및 서비스업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립어업은 어업의 부진으로 4.5% 감소했지만 제조업은 석유화학제품, 선박 등이 늘어나면서 1.4% 증가했다.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3.7% 오름세를 보였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이 감소했으나 운수보관, 정보통신, 보건·사회복지가 증가하면서 0.7% 성장했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실질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보다 1.0% 증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