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일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의 긴급 유동성 지원을 위해 총 3000억원 규모의 운전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호 남북협력지구지원단 단장은 이날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진행된 긴급 브리핑을 통해 "현 단계에서 정부가 최대한 마련할 수 있는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1단계 긴급 지원의 내역은 남북협력기금 특별대출(630억원, 금리 2%), 중소기업창업 및 진흥기금(1,000억원, 금리 2%), 정책금융공사 온렌딩(1,000억원), 신기보 특례보증(369억원) 등이다.
또한 정부는 3000억원 규모의 남북협력기금 경협보험 자금지원과 추경예산안에 포함된 중소기업진흥기금을 통한 정책자금이 국회 심의가 마치는대로 바로 지원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2단계 지원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와 새누리당은 전날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 태스크포스(TF)' 당정협의를 갖고 추경예산 가운데 중소기업진흥기금의 긴금지원 항목을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용으로 쓸 수 있도록 의견을 모았다.
현재 우리은행 1000억원, 기업은행 1000억원, 수출입은행 3000억원 등 민간금융기관 차원에서의 자금 지원은 이미 진행 중에 있다.
정부는 또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에 '개성공단 입주기업 실태조사반'을 설치해 전날부터 입주기업 실태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서 단장은 "남북협력기금 특별대출로 나가는 630억원의 경우 우선 업체별로 10억원의 상한선을 두기로 했다"며 "업체마다 상황이 다른 면이 있어서 실태조사 후 상한액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정확한 실태조사에는 한달여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협보험 미가입 업체들에 대한 지원에 대해서는 "조사를 해본 뒤 형평성이나 여러 측면을 종합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같은 내용의 지원 방안을 이번주 내로 각 입주기업측에 통보한 뒤 오는 6일부터 수출입 은행을 통해 접수를 받을 계획이다.
한편 서 단장은 북한과의 미수금 협상을 위해 현재 개성에 체류 중인 7명의 잔류 인원에대해 "오늘 중으로 관련해서 드릴 수 있는 말씀이 있을 것 같다"고 언급해 이르면 금명간 북한과의 협상이 점정 타결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또 각 업체들의 미수금 지급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이날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