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간 임금, 근속기간 등의 차이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규모가 큰 사업체일수록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3년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현재 비정규직 근로자는 573만2000명으로 전체 임금근로자의 32.3%를 차지했다.
이들 비정규직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5개월로 전체 임금근로자 평균(5년6개월)과 정규직 평균(7년)에 비해 턱없이 짧았다.
3년 이상 근무했다는 비정규직의 비율은 24.3%로 전년보다 0.5%p 상승했지만 여전히 절반 이상(53.6%)이 1년의 근무기간도 못 채웠다. 이에 반해 정규직은 53.6%가 3년 이상의 근속연수를 기록했다.
나아가 비정규직의 최근 석달간 월평균 임금은 141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2만원 줄었다.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전체 임금근로자 평균(211만3000원)의 70% 수준에도 못 미쳤다. 반면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지난해보다 7만90000원 늘어난 253만3000원으로 나타나 전체 평균보다 40만원 이상 높았다. 고용조건을 둘러싼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 격차는 규모가 큰 사업체일수록 더 심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전체 사업체의 시간당 임금총액(월 임금총액을 총 근로시간으로 나눈 것) 차이는 2011년 기준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9.1% 높았다. 하지만 100인 미만의 사업체는 5.1%, 100~299인 15.8%, 300인 이상 21.9% 등 사업체 규모가 클수록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더 컸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이후 더 벌어졌다. 지난 3월 현재 임금근로자 전체 중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격차는 12.2%로 전년보다 2.5%p 늘었다.
근로복지 수혜 역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가 컸다. 퇴직금, 상여금, 시간외수당, 유급휴일 등의 근로복지 수혜를 받는 비율은 대부분이 전체 임근근로자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비정규직은 노후를 대비할 수 있는 사회보험 가입률도 저조했다. 임근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67.9%인 것에 반해 비정규직은 40.0%로 나타났다. 건강보험(46.8%), 고용보험(43.9%) 등도 임근근로자(71.5%·67.9%)보다 낮았다.
한편 비정규직이 가장 많이 분포한 산업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으로 전체의 절반 가량인 49.9%가 비정규직이다. 도소매·음식숙박업(18.3%), 건설업(10.9%) 등이 뒤를 이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가 31.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비스-판매종사자(23.3%), 관리자-전문가(17.6%)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