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빅데이터와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초(超)협력 전자정부’를 구축한다.
시는 기존 IT기반의 시 행정을 2015년까지 빅데이터와 모바일을 중심으로 진화시켜 시민들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365일 모바일을 통해 모든 정보를 제공받는 환경기반을 구축한다고 29일 밝혔다.
김경서 시 정보화기획단장은 이날 시청브리핑룸에서 기자설명회를 열어 “서울시 초협력 전자정부의 특징은 빅데이터의 시정 접목”이라면서 “빅데이터는 IT환경에서 최근 2~3년 동안 가장 주목받는 문제해결 방법이지만 지금까지 행정기관에서 활용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핵심은 그동안 사람들이 PC와 인터넷, 모바일 기기를 통해 도처에 남긴 다양하고 방대한 발자국인 ‘빅데이터’를 시정에 접목해 복지·경제·교통·환경 등 도시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행정 데이터는 물론 민간이 구축한 데이터도 협력·공유를 통한 융합으로 시정 전반에 활용된다.
초협력 전자정부는 이러한 초협력이 가능한 IT환경과 기반을 구축하는 ‘초협력 터잡기’를 기본전략으로 해 ▲빅데이터 ▲시민중심 서비스로 구성된 2대 핵심전략으로 집중 추진된다.
먼저 서울시내 곳곳에 공공 와이파이망을 확대하고 모바일 충전기 대여도 무료로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휴대폰 통화량과 교통정보 융합·분석을 기반으로 심야 시간대 유동인구 밀집도를 파악해 최적화된 버스노선과 택시잡기 쉬운 위치를 찾아주는 서비스도 추진한다.
이외에도 시민중심 서비스 차원에서 시민이 직접 시 정책 형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모바일 투표서비스인 ‘mVoting’을 구축해 12월부터 본격 서비스한다. 행정정보를 지도로 구현하는 ‘서울형 지도태그’를 도입해 각종 날씨, 교통, 문화정보 등을 공간정보로 표시되도록 서비스할 계획이다.
김경서 단장은 “앞으로의 행정은 시민·인프라·기술 등에 의존하는 한계를 넘어 모든 문제, 즉 데이터·사물·현상까지 포함한 문제 인식과 이들 간의 융합이라는 초협력을 통해 진정한 소통과 공유의 장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며 “이를 통해 개방·참여·소통·공유의 열린시정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