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건설은 올해 사회공헌활동 참여 인력을 150% 늘렸다고 12일 밝혔다. 한화건설은 김승연 회장의 경영이념인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글로벌 기업'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하고 있다. 한화건설은 서울시 장애인 복지시설협회, 동천의 집, 구세군지역아동복지센터, 꿈나무마을 등 10여개 지역 노인복지관, 장애인·아동시설과 연계를 맺고 도서관 지원, 야외활동 지원, 무료급식 등을 하고 있다. 대표이사와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소외계층을 위한 명절음식 나누기, 연말연시 사랑의 김장 담그기, 연탄배달 봉사 등도 매년하고 있다. 올해 본사 직원 1900여명이 봉사활동에 참여할 계획이다.이는 전년 대비 150%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도 임직원 1300여명이 연 1회 이상의 봉사활동을 펼쳤다. 이는 횟수로는 80회 이상, 시간으로는 총 7400시간 이상이다. 특히 '꿈에그린 도서관' 사업은 2011년 시작한 한화건설의 특화된 사회공헌활동이다. 이 사업은 서울시 장애인복지시설협회와 손잡고 장애인 시설내 유휴공간에 도서관을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2011년 3월 서대문 홍은동 장애인 직업 재활시설 '그린내'에 개관한 1호점을 시작으로 지난 4월까지 총 22호점이 문을 열었다. 이달 말 노원구 중계동 장애인 요양시설인 '늘편한 집'에 개관할 23호점을 포함, 연말까지 총 10개점을 추가로 지을 예정이다. 이근포 사장을 비롯한 한화건설 봉사단은 매달 '꿈에그린 도서관' 개관에 앞서 직접 책장을 설치하고 도서를 진열한다. 평균 1000여권을 기증하는 도서는 임직원들의 정성을 모아 마련했다. 또 한화건설은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를 강조한 김승연 회장의 신념을 반영해 지난 3월부터 서울시 꿈나무 마을을 찾아 보육원 아동들과 '한화건설과 함께하는 건축여행'을 진행 중이다. 봉사자와 아동들이 파트너십을 맺고 일상적 삶 속에서 건축적 감수성을 키우는 재능기부의 일종이다. 이밖에 건설사란 특성을 살려 노숙인들이 목욕과 세탁을 하고 쉴 수 있는 '드롭인 센터'도 기부한 바 있다. 국내 최초로 용산에 문을 연 여성 노숙인 전용 공간인 '우리들의 좋은집'도 한화건설 작품이다. 이에 더해 한화건설은 근무시간을 활용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유급자원봉사제도'와 임직원이 낸 사회공헌 기금만큼 회사가 후원금을 지원해주는 '매칭그랜트 제도'를 운영하는 등 매월 4회 이상 정기적인 사회공헌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이근포 사장이 직접 봉사 현장을 찾아 진두지휘하는 등 '찾아가는 봉사활동'을 전개, 단순한 기부와 금전 지원을 탈피하는 중이다. 지난해부터 이를 위해 전 직원 1인당 평균 봉사활동 시간을 늘리고 봉사활동 참여율 100%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근포 한화건설 대표이사는 김승연 회장의 경영이념을 언급하며 "올해도 지속적인 이웃사랑의 실천을 통해 임직원들과 봉사의 기쁨을 공유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임직원 모두가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