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미디어허브가 차세대 인터넷 표준인 'HTML5'를 기반으로 한 IPTV를 내놨다.
HTML5는 웹에서 콘텐츠를 제시하는 기본 언어인 HTML의 최신 버전이다. HTML5 기반의 웹 페이지나 앱은 구글 안드로이드 OS(운영체제)와 아이폰의 iOS와 같은 특정 OS에 종속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스마트IPTV를 넘나들면서 사용할 수 있다.
지난달 국내 최대 케이블TV방송사업자(MSO)인 티브로드가 HTML5 기반 스마트 셋톱박스를 상용화했지만 IPTV로는 KT가 처음이다.
KT는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웹 기반의 차세대 IPTV 서비스인 '올레 tv 스마트'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김주성 KT미디어허브 대표는 "뛰어난 확장성과 양방향성을 적극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실시간 방송과 웹 정보가 융합된 진정한 차세대 IPTV 서비스를 정착시키겠다"며 "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현재 450만 명인 방송 가입자를 올해 말까지 500만 명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기존의 방식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하려면 셋톱박스에 맞는 OS의 기준에 따라야만 제작과 실행이 가능했다"며 "하지만 웹 방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 웹브라우저를 통해 그와 같은 기능들을 실행하고 이용할 수 있어 뛰어난 확장성이 보장 된다"고 덧붙였다.
올레tv 스마트는 이같은 HTML5를 기반으로'매시업'(Mash-up·콘텐츠와 서비스의 융합) 서비스를 도입했다. TV 방송을 보면서 이와 관계된 다양한 웹상의 정보를 화면 위에 뜬 창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가장 먼저 시작되는 것은 '스마트 야구중계'다. 시청자들은 프로야구 중계방송을 보면서 화면 위에 올라오는 창을 통해 현재 타석에 나선 선수의 개인 정보, 상대전적, 현재 타 구장의 경기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골프, 축구, 농구 등 전문 스포츠 영역 및 여행, 요리 등 정보형 서비스 영역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양방향 교육 서비스, 클라우드 게이밍, 스마트 개인방송 등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선보인다. 1:1 영어 교육 서비스 '21 English'는 IPTV를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고객이 학습에 직접 참여해 발음교정, 회화 연습 등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DVD'는 본인이 구매한 콘텐츠를 TV, 스마트폰 등 각종 스마트기기에서 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다. '가상DVD'인 클라우드 DVD 서비스를 통해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시청 할 수 있다.
'개인방송'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찍은 영상 및 사진을 나만의 채널을 통해 게재 및 공유할 수 있고 유명인사의 개인 채널 및 취미생활, 강의, 운동 등의 채널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올레tv의 한 달 이용 요금은 채널수에 따라 이코노미 월 1만2000원(이하 부가세 별도), 스탠더드 1만5000원, 프리미엄 2만원이며 11월 말까지 신규 가입고객은 3000원씩 할인 혜택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