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과 경기위축으로 제조업 경영환경은 여전히 어려운 가운데 매년 전기요금인상과 정부규제로 인해 구미공단 기업들이 울상을 짓고 있다. 구미상공회의소(회장 김용창)에서 조사한 체감경기 결과에 따르면 올 1/4분기 BSI는 74, 2/4분기는 84로 다수 중소·중견기업은 어두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치솟는 전기요금과 과태료 납부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실제로 산업용 전력요금은 2000년 이후 78.2% 상승해 주택용, 일반용, 교육용, 농업용 등에 비해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즉, 2000년 이후 현재까지 평균 44.4% 인상된데 반해(주택용 9.0%, 일반용 21.6%, 교육용 18.5%, 농업용 12.2%, 가로등 56.0%) 산업용은 78.2% 상승, 14년 동안 2002년과 2004년을 제외하고 총12차례에 거쳐 인상됐다.  구미공단은 IT산업은 물론 섬유, 화학, 기계업종이 다수 입주해 있어 전력소모가 매우 큰 실정으로, 대한상의 조사결과 구미를 포함한 전국 중소기업은 1000원의 순이익을 내면 63원은 전기요금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2010년과 2011년에는 구미공단에 순간정전 사고가 발생해 막대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올해에는 신고리, 신월성 등 원전가동 중단으로 인해 의무 감축을 이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올 하절기에는 계약전력 5000KW이상 업체는 의무적으로 부하변동률에 따라 3%에서 최대 15%까지 전력사용을 줄여야하며, 업체 자가발전기 가동, 부분조업 중단, 중식시간 조정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구미공단 업체의 지난해 7월 대비 올 7월 전기요금상승률은 원사제조 대기업 A사 13.4%(사용량 1.4%증가), 원사제조 대기업 B사 13.7%(사용량 2.0%증가), 원사가공 중소기업 C사 17.1%(사용량 4.7%증가) 각각 증가하며 대부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였다.  의무감축에 따라 공장 가동률이 보합 또는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전기요금은 오히려 더 많이 납부해야 하는 실정이며, 전력 피크치를 경신하면 KW당 단가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대부분의 기업은 과태료를 납부하더라도 공장 가동을 멈출 수 없다는 입장이며, 과태료를 면하기 위해 자가 발전기를 풀가동하며 대응하고 있다.  구미상공회의소 관계자는“국가적인 전력난에 기업은 물론, 전 국민이 에너지감축정책에 동참해야 하지만 원전비리 등으로 붉어진 피해가 고스란히 기업으로 전해져 가동을 한 시도 멈출 수 없는 기업체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여기에 과태료 납부 부담까지 이어져 경영난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정부에서는 산업체에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치 않도록 전력수요관리와 원전 정상가동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상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