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1. 경기도 성남에 거주하는 30대 고모씨는 지난 1월3일 벤츠(C220 CDI) 차량을 구입했지만 불과 3개월여 만에 주행 중 시동이 꺼져 애를 먹었다. 수리를 요청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했고, 부품을 구하는데 한 달이 소요되며 교체 후에도 정상운행을 보장할 수 없다는 말만 들었다.
#사례 2. 경남 사천에 거주하는 40대 최모씨(여)는 2009년 12월31일 경기도의 한 토요타자동차 매장에서 캠리 차량을 구입했다. 최씨는 수개월 뒤 엔진오일 교체와 차량 수리를 거주지 인근 창원 서비스센터에 의뢰하자 "다른 지역에서 구입한 차량은 수리가 불가능하다"며 거절당했다.
수입자동차 판매량이 늘면서 소비자 피해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차량가격이나 수리비용 등에 대한 부담이 크면서도 품질에 대한 불만이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8년~2012년) 접수된 수입 자동차 관련 소비자피해는 609건으로 연 평균 122건이 접수됐으며 최근 2년 연속 크게 늘어났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품질미흡'이 65.7%(400건)로 가장 많았고, 보증수리 지연·거절 등 'A/S 미흡' 8.2%(50건), '계약 불이행' 5.4%(33건) 등의 순이었다.
'품질미흡' 사례 400건 가운데 34.5%(138건)는 시동꺼짐 등 '엔진고장' 문제였고, '소음발생'13.3%(53건), '도장 불량·변색' 10.0%(40건) 등이 많았다.
판매대수 대비 소비자피해가 가장 많은 업체는 크라이슬러코리아로 1만대당 14.7건이었고, 아우디코리아가 13.7건, GM코리아가 13.5건, 폭스바겐코리아가 11.7건으로 뒤를 이었다.
차량(1800~2500cc 세단 기준) 부품(앞·뒤 범퍼와 사이드미러) 교체비용은 재규어(XF 2.0P 럭셔리)가 판매가의 10.6%로 가장 높았고, 토요타(렉서스 CT 200h), 혼다(Accord 2.4 EX-L), GM(Cadillac ATS 2.0L)이 각각 7.7% 였다.
하지만 국산자동차와 달리 수입자동차의 경우에는 자동차를 판매한 딜러사가 보증수리 책임을 부담하고 있고, 정비 사업소가 지방보다 수도권에 편중돼 있어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업체별 차량 판매 및 신차 보증 수리를 담당하는 딜러 수는 한불모터스(푸조)가 선에이모터스 등 19개 딜러로 가장 많고, 크라이슬러가 렉스모터스 등 14개, 한국닛산이 프리미어오토 등 13개 수준에 그쳤다.
소비자원은 수입자동차를 구입할 때는 ▲A/S 편리성 ▲정비 사업소의 접근성 ▲교체 수리가 비교적 빈번한 범퍼·사이드미러 및 엔진오일 교환 비용 등을 충분히 고려해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