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갈수록 지능화되는 신·변종 금융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대국민 합동경보'를 발령하고 대응에 나섰다. 지난 3월에 이어 두 번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미래창조과학부, 경찰청 등 4개기관은 29일 피싱, 파밍, 스미싱 등 신·변종 금융사기가 지능화하면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며 국민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피싱의 경우 지금까지는 전화로 국가기관, 금융회사 등을 사칭하거나 자녀 납치 등으로 피해자를 속인 뒤 '대포통장'계좌로 자금을 이체토록 한뒤 현금인출기를 통해 돈을 빼내는 수법이 주로 사용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포통장 대신 귀금속 등 물품판매자의 정상 계좌로 송금 또는 이체토록 한 뒤 현물을 인도받아 현금화하는 변종 수법이 횡행하고 있다.
파밍수법도 사용자가 정확한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웹 페이지에 접속토록해 개인정보를 훔치는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가짜 팝업창을 띄워 이체에 필요한 보안카드 비밀번호 앞·뒤 2자리를 알아낸 뒤 자금을 이체하는 방법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기존 파밍은 이용자PC를 악성코드에 감염시킨 뒤 가짜사이트로 유인, 비밀번호와 보안카드번호 전체 등 금융거래정보를 빼낸 뒤 자금을 이체했다.
휴대폰이 주로 이용되는 '스미싱'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기존 스미싱은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이용자가 모르게 악성 앱을 설치한 뒤 소액결제 관련 정보를 빼내 게임사이트에서 아이템을 구매하는 방법이 주로 쓰였다.
하지만 신·변종 스미싱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금융회사를 가장한 앱을 설치토록 한 뒤 앱에 표시된 번호로 전화를 걸면 사기 전화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사기범들은 전화를 건 피해자에게 기존 대출금의 상환을 요구하거나 대출을 해주겠다며 수수료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철저한 주의와 예방을 통해 피해를 방지할 것을 당부했다.
피싱의 경우 공공기관이나 금융회사 통신사등을 사칭한 기망, 공갈에 주의해야 하고 피해 발생 땐 경찰청과 금융회사에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파밍·메모리해킹을 막기 위해 악성코드 탐지와 제거 등 PC보안점검을 생활화하고 보안카드보다 안전성이 높은 보안매체를 적극 이용해달라고 강조했다. 전자금융사기 예방서비스에 반드시 가입해 부정이체를 예방하는 것도 필수다.
스미싱도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주소 클릭과 앱 설치를 금지해야 예방이 가능하다고 정부는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