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석을 앞두고 서민물가 안정 등을 위해 성수품 공급물량을 확대하고 서민·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3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추석 명절을 앞두고 국무회의를 거쳐 이러한 내용을 담은 '추석 민생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대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지만 장마·폭염 등 기상악화로 일부 채소류를 중심으로 농수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등 장바구니 물가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내놓은 민생안정 대책은 ▲추석 성수품 수급 안정 등 서민물가 적극 관리 ▲서민·중소기업 지원을 통해 민생 안정 ▲취약·소외계층에 대한 배려를 통해 행복나눔 실천 ▲교통·수송·항만대책을 통해 국민편의 증진 ▲안전·진료 등 비상대응체계 구축 ▲먹거리 안전 강화 등을 통해 안심할 수 있는 명절 지원 6가지다.
우선 정부는 추석기간 중 서민물가 안정을 위해 사과, 배 등 농축수산물 15개, 돼지갈비, 목욕료 등 개인서비스 6개, 쌀, 양파, 휘발유 등 생필품 10개 등 총 31개 품목에 대한 중점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또 4일부터 17일까지를 특별공급기간으로 정하고 전통시장 등을 중심으로 성수품 공급물량을 평시(8200t)보다 1.5배 확대(1만2900t)해 공급하고, 전국에 직거래 장터 및 특판장을 2522개 개설해 시중가격보다 10~30% 할인된 가격에 판매키로 했다.
서민·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지원도 이뤄진다. 다음달 4일까지 중소기업 자금지원을 위해 특별자금 대출 15조330억원과 신?기보 보증 1조6000억원 등 총 16조6000억원을 지원한다.
또 국민행복기금을 통해 서민·금융채무연체자 신용회복을 지원하고, 지자체가 추천한 시장을 대상으로 1억원 내에서 긴급 운영자금을 공급한다. 영세 소상공인 등의 자금애로 해소를 위해 7000억원의 보증 지원도 이뤄진다.
취약계층 지원방안도 마련됐다. 명절기간에도 취약계층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지속될 수 있도록 무료급식 확대, 무료진료소 등 사회복지시설 정상적으로 운영한다.
17일까지 체불임금청산 집중지도기간을 운영해 체불근로자에 대해 생계비를 저리(연 3%, 1000만원 한도)로 빌려주고, 임금채권 확보를 위해 무료 법률상담도 실시한다.
교통·운송·항만 등 이동수단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추석 연휴기간동안 특별교통 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열차, 고속버스, 시외·전세버스, 항공기, 연안여객선을 최대한 증편 운행한다.
아울러 사고없는 안전한 명절이 될 수 있도록 범죄 취약지를 중심으로 위법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24시간 응급환자 진료가 가능할 수 있도록 당직의료기관을 지정해 운영한다.
이외에도 소비자가 안심하고 추석을 준비할 수 있도록 명태 등 원양산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안전성 조사를 확대하고, 수산물·쇠고기 원산지 표시 허위 표시에 등에 대한 특별단속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