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친환경농산물의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직거래 매장을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친환경농산물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중도매인을 육성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9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친환경농산물은 농약과 화학비료, 사료첨가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해 생산한 농산물을 말한다.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등 화학자재 사용량을 기준으로 정부가 인증하고 있다. 우선 농식품부는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친환경농업 비중이 큰 산지에 로컬푸드 전문매장, 공동작업장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로컬푸드 매장은 현재 20개에서 오는 2017년까지 100개로 확대하고, 매장 당 3억원 이내의 지원금을 보조하기로 했다. 산지 조직화와 규모화를 위해 권역별로 종합물류센터도 세우기로 했다. 오는 2015년까지 친환경농업단지 60곳과 지구 1300곳을 조성키로 했다. 농식품부는 권역별로 친환경농산물 전용 물류센터 및 저온수송차량 등 물류·장비를 지원키로 했다. 친환경농산물을 주로 취급하는 법인과 중도매인을 육성하고, 친환경농산물 전용경매장, 저온저장고 등 전용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중도매인은 농민과 소규모 도매상 사이에서 농산품을 공급하는 유통업자를 말한다. 더불어 도매시장에서 친환경농산물의 정가·수의매매 거래비중을 2%에서 오는 2017년까지 6%로 늘리기로 했다. 정가·수의매매에 적극 참여한 도매시장 법인과 중도매인에게는 1차 농산물을 구입하는 비용인 직거래매취자금 등 정책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이와함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안전성 조사 건수를 현재 1만1500건에서 오는 2017년까지 1만3500건으로 늘리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소비활성화 대책을 통해 소비자는 안전한 친환경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생산자는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고 적정한 가격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친환경농산물은 전체 농산물재배면적대비 9.5% 수준이다. 시장규모는 3조809억원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