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마곡 LG 사이언스 파크'에 첨단 에너지 솔루션을 적용한다고 31일 밝혔다. 마곡 사이언스 파크는 서울시 강서구 마곡산업단지 내에 건설하는 첨단 융복합 연구개발(R&D) 기지다.
LG는 마곡 사이언스 파크의 에너지 사용량을 일반 건물 대비 50%에서 최대 70%까지 절감하고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제품 및 정보통신기술 (ICT)을 집약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친환경 에너지원을 구축해 필요한 에너지의 일부를 자체 생산하기로 했다.
우선 마곡 LG 사이언스 파크 모든 건물 옥상에 LG전자의 고효율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 시간당 최대 3MW(메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3MW는 여의도 LG트윈타워의 사무공간에 설치된 전체 LED 조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의 약 4배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LG가 개발 중인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화학 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용 연료전지도 도입, 설치할 계획이다.
에너지 저장, 활용을 위해서는 2MW 이상의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한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설치해 가격이 저렴한 심야전기 등을 저장했다가 각 연구공간의 냉난방에 활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고효율 냉난방 시스템 및 내외장재, LED 조명 등도 전면 적용된다.
마곡 LG 사이언스 파크 운영에 있어서는 공조, 조명, 전력 설비를 통합 관리하는 빌딩관리시스템(BMS)과 단지 전체 에너지 사용 현황을 분석해 제어하는 그린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력 수요가 몰리는 시점을 대비해 사전에 전력 저장량을 높이고, 일광량에 따른 공간별 온도 차이를 감지해 냉난방을 자동 조절하는 등 지능형 에너지 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 밖에 마곡 LG 사이언스 파크의 업무용 차량으로는 전기차를 운용하고, 단지 내에는 LG CNS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도 구축할 예정이다.
LG가 3조원 이상을 투자해 17만여㎡(약 5만 3천평) 규모로 건설할 계획인 마곡 LG 사이언스 파크는 11개 계열사의 R&D 인력 2만여명이 상주하며 융복합 시너지 연구와 미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을 하게 될 첨단 R&D기지다. 2017년부터 단계별로 준공해 2020년 최종 완공될 예정이다.
한편 LG는 지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2013 대구 세계에너지총회'에서 고효율 태양광 모듈, ESS, 빌딩관리시스템(BMS) 등 약 30개의 에너지 관련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며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에너지 솔루션 사업을 본격 전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