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원장 김병일)이 경북도의 지원으로 오는 8일 오후 2시30분부터 6시30분까지 안동문화 예술의 전당에서 ‘2013 종가포럼’을 개최한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이번 종가포럼의 주제는‘불천위, 만리를 가는 사람의 향기’다. 이번 종가포럼은 종가 문화의 초석을 놓은 불천위 선현들의 인품과 공적을 다각도로 조명하고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불천위는 인품과 공덕이 뛰어난 조상인 경우 4대를 넘어서도 조매하지 않고 사당에 계속 모시는 신위를 가리킨다. 불천위가 될 수 있는 기본요건은 이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가에 공로가 있는 사람에서 지역 유림의 추천을 받은 학덕이 높은 사람 그리고 마지막엔 문중 조상 가운데 인품이나 학식이 본받을 만한 사람으로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조상이 불천위로 추대되면 중시조(中始祖)가 돼 새로운 문중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기 때문. 현재까지 불천위 종가는 국내에서 150여곳으로 추정되는데, 이 가운데 110개 정도가 경북지역에 집중돼 있다.이번 학술강연은 가문을 넘어 지역의 사표(師表)로 추숭되는 불천위 인물들의 삶과 정신을 되새겨 보고 더불어 그 정신을 대대로 지켜오는 종가 문화의 현대적 의미와 보존 방안을 살펴보려는 취지로 열린다.먼저 영남대 사회학과 이창기 교수가‘문중형성의 역사적 과정과 한국의 종가문화’라는 제목으로 한국 종가문화의 전통과 특징을 이야기 한다. 이어 한국국학진흥원의 김미영 박사가‘불천위, 덕(德)과 행(行)을 갖추다’라는 제목으로 경북 지역 불천위 인물들의 추대 과정과 덕행에 대해 강연한다.이와 함께 이 행사에서는 연극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 공연도 이어진다. 이는 의성김씨 학봉종택의 13대 종손 김용환(金龍煥:1887∼1946년) 선생을 소재로 한 창작 연극이다. 김용환 선생은 가문을 지켜야 할 종손임에도 노름에 빠져 집안의 많은 재산을 탕진한 것 때문에 지역 사람들에게 심한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이후 여러 증언과 자료를 통해 노름빚으로 탕진한 줄만 알았던 집안의 재산이 만주 독립군 군자금으로 흘러들어간 사실이 밝혀졌다. 독립 자금을 모으기 위해 철저하게 노름꾼으로 위장한 삶을 살면서 일제의 감시를 피하고자 했던 것. 그의 외동딸은 파락호(破落戶)로 알고 평생을 원망했던 아버지가 건국훈장을 추서 받던 날, 존경과 회한을 담은 ‘우리 아배 참봉 나으리’라는 제목의 서간문을 남겼다.이와 함께 전시행사로 불천위 유물전, 불천위 제례 사진전, 종가문장 활용 문화명품전 등도 열린다.류상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