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1000억원 수준인 스마트콘텐츠 시장규모가 2017년까지 5조원 규모로 확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12일 오전 7시30분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양 부처 장관 공동 주재로 열린 ‘제2차 콘텐츠 창의 생태계 협의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콘텐츠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스마트콘텐츠산업 육성 전략은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함께 신시장으로 주목받는 스마트콘텐츠산업을 통해 창조경제를 구현하고 국민행복을 증진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다. 양 부처는 이와 함께 창조형 강소기업(스마트콘텐츠분야 연 매출액 5억원 이상 기업)을 현재 200개에서 500개로 육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우선 ‘스마트콘텐츠센터’의 기능 강화를 통해 기업 성장단계별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예비 창업가와 기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컨설팅 지원, 창업문화 조성 등을 통해 기업 활성화 기반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국제적 스마트콘텐츠 시장의 낮은 장벽을 고려,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방안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날 현장에는 네이버·카카오 등 유통·플랫폼 기업과 콘텐츠 기업, 관계 기관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유진룡 문체부 장관은 “양 부처 간의 협업 성과가 콘텐츠산업 종사자 및 업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콘텐츠 장르별, 주제별로 의견수렴을 폭넓게 하겠다”며 “제기된 현안사항과 과제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정부정책과 사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